기본적인 Git 명령어



기본적인 Git 명령 정리 문서







Git 저장소 만들기



방법 1. "git init" 명령을 통해 해당 로컬 저장소(~/github)를 Working 영역으로 초기화 시킨다.(초기화된 Working 영역에는 ~/.git 라는 저장소 디렉토리가 생성된다.)


방법 2. "git clone remote https://github.com/mohwa/mohwa.github.io.git(리모트 저장소 URL) 명령을 통해 해당 리모트 저장소의 모든 자원을 로컬 저장소(~/github) 아래에 가져온다.(말그대로 또 다른 dummy를 생성하는 것이다.)




- "git clone" 명령은 아래와 같은 문법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git clone https://github.com/mohwa/mohwa.github.io.git aliasName(별칭)



1. Working 영역에 파일을 생성 후 파일의 현재 상태를 확인한다.(Working 영역안의 모든 자원은  "git add" 명령 수행 이전에는 모두 "Untracked"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하지만 아래와 같이 "git hash-object" 명령을 수행하면, Untacked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자원과 매칭된 Hash 문자열(03f128...3e9)이 미리 생성되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Hash 문자열이 미리 생성되어 있을 뿐, 실제 Tacking 되고 있는 파일과 같이 Git 저장소 내부(~/git/object) 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1. "git add" 명령을 통해 파일을 Staging 상태로 변경한다.


2. Staging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git hash-object" 명령을 통해 해당 파일의 Hash 문자열(03f128...3e9)을 알아낸다.


3. 위에서 알아낸 파일의 Hash 문자열을 근거로 Git 저장소 내부를 확인해 본 결과 해당 위치(~/github/.git/objects/03/f128...1773e9)에 Blob 형식의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또한, "git ls-files -s" 명령을 통해 현재 Staging 되고 있는 자원들의 목록을 확인할 수도 있다.









파일 변경내역 확인하기 1


1. Working 영역에 파일을 생성 후 Staging 상태로 만든다.


2. 파일 내용을 "modify File"로 변경 후 현재 Staging 여부를 확인하면, Unstaging 상태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git diff" 명령을 통해 위에서 작업한 파일들의 상태를 비교할 수 있다.(Unstaged 와 Staged 간 비교)



- 정리하면, 현재 Staging 된 파일의 Hash명은 "4de7ff....949" 이며, 파일 내용 변경 후Hash명은 "21cb98....e19" 라는 것을 알 수 있다.(간단히 말해, 현재 Staging 된 자원들의 목록에서 "21cb98...e19" Hash명은 찾아 볼 수 없다.)


즉, 내용이 변경된 파일은 아직 "Staging" 상태가 아닌 "Unstaged" 상태 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파일 변경내역 확인하기 2



1. 현재 Staging 상태의 자원들을 출력한다.


2. Working 영역에 파일을 생성하며, 해당 파일을 Staging 상태로 변경한다.


3. "git diff --staged" 명령을 통해 현재 Staged 된 자원들과 Commit 된 자원들을 비교할 수 있다.


4. 확인 결과 최종 Commit 된 자원은 아래 index 00000..4de7ff4 와 같이 출력하고 있으며, 현재 Staging 된 자원인 File2 와 비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1. 파일을 Commit 단계 까지 진행시킨다.


2. 위와 마찬가지로 "git diff --staged" 명령을 통해 현재 Staged 된 파일과 Commit 된 파일을 비교하면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이유는 현재 생성된 모든 파일이 commit 상태로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수정하고 저장소에 저장


1. 그 동안 지속적으로 확인한 바와같이 "git commit" 명령은 현재 Staging 된 자원을 저장소에 확정시키는 역활을 수행한다.



- 위 명령과 다르게 "git commit -a -m" 명령은 변경된 파일에 대해 "git add" 명령을 생략 가능하게 해준다.









파일 삭제하기


1. "git rm" 명령을 통해 현재 Staging 되고 있는 파일을 Unstaging 상태로 변경한다.(해당 Tracking 상태는 유지하고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파일 이름 변경


1. "git mv" 명령을 통해 파일명을 변경 시킨다.


2. 하지만 Git는 아래 결과와 같이 파일명 변경되어도, 내용이 변경되기 까지는 같은 Hash Point(94634...ceb50)를 가리키게 된다.









Commit 히스토리 조회


1. 모든 Commit 히스토리를 출력한다.


2. 모든 Commit 히스토리를 한줄로 출력한다.


3 모든 Commit 히스토리 상위 하나만 출력한다.(-num(상위 n개))




- 아래는 Commit 명령에 대한 상세 내역이다.








히스토리 수정



- 아래는 "git commit --amend" 명령 후 실행되는 편집기 화면이며, 이것을 통해 수정된다.


P.S: "git commit --amend -m "commit comment" 명령을 통해서도 수정 가능하다.









수정된 파일 되돌리기


1. 파일의 내용을 "modify File1" 로 수정한다.


2. "git checkout" 명령을 통해 수정된 파일의 내용을 되돌린다.(단, 한번 되돌리면 다신 복구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3. 내용 확인 후 이전 상태로 되돌아간것을 확인할 수 있다.









리모트 저장소 확인


1. 리모트 저장소를 로컬로 가져오면,  origin이라는 리모트 저장소가 자동으로 등록된다.


2. "git remote show" 명령을 통해 리모트 저장소에 대한 상세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리모트 저장소 추가 / 이름 변경 / 제거


- 추가



- 변경



- 삭제









태그


1. 태그 생성


- 특정 Commit 히스토리에 임의의 Tag를 지정(생성)한다.



2. 태그 내역 확인 및 삭제







- Git 기본계념과 사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